문화체육관광

인조

인조(1595년(선조 28년)~ 1649년(인조 27년))

조선 제 16대 국왕으로 재위기간은 1623년~1649년이다. 이름은 종, 자는 화백, 호는 송창으로 선조의 손자이며, 정원군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좌찬성 구상맹의 딸인 인헌왕후이다. 비는 영돈녕부사 한준겸의 딸인 인열왕후이고, 계비는 영돈녕부사 조창원의 딸인 장렬왕후이다. 1607년 (선조 40년) 능양도정에 봉해지고, 이어 능양군에 진봉되었다.

광해군때 영창대군을 죽이고 인목대비를 폐하였으며, 또 여러 차례의 옥사를 일으켜 정치가 혼란하여지자, 1623년 서인 김류, 이귀, 이괄 등이 반정을 일으켜 광해군을 폐출하고, 서궁에 유폐되어 있던 인목대비의 윤허를 받아 왕위에 추대함에 따라 경운궁에서 즉위하였다.

즉위 후 광해군 때 희생된 영창대군, 인해군, 연흥부원군 김제남 등의 관직을 복관시켰다. 그러나 반정공신들에 대한 논공행상에 있어서 도감대장 이수일을 내응의 공이 있다고 하여 공조판서로 임명한 데 비하여, 이괄을 2등에 녹공함으로써 이에 불만을 품은 이괄이 1624(인조 2년) 난을 일으켜 서울을 점령하자, 공주까지 남천 하였다가 도원수 장만이 이끄는 관군에 의해 이괄의 군대가 격파된 뒤에 환도 하였다. 광해군 때에는 명나라와 후금의 대립 가운데 중립정책을 써왔으나, 반정으로 서인이 정권을 잡은 뒤에는 후금에 대한 태도가 일변하여 친명배금 정책으로 전환하여 후금의 침략을 불렀다.

1627년 후금이 군사 3만 여명으로 침략하여 의주를 함락시키고, 파죽지세로 평산까지 쳐들어오자 강화도로 천도하였으며, 최명길의 주장에 따라 양국의 대표가 회맹하여 형제의 의를 약속하는 정묘화약을 맺었다.

1636년 12월 형제의 관계를 군신의 관계로 바꾸자는 청나라의 제의를 거부하자, 10만 여명의 군대로 다시 침입해 왔는데, 혹한 속에 봉림대군, 인평대군과 비빈들을 강화도로 보낸 뒤 미처 뒤따라가지 못하고 남한산성으로 대피하게 되었다. 그 때 척화파와 주화파 간의 치열한 논쟁이 전개되었으나, 결국 주화파의 뜻에 따라 성을 나와 삼전도에서 청나라 태종과 군신의 예를 맺고,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을 볼모로 청나라에 보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청나라 군대는 돌아가고 조정은 환도하였지만, 임진왜란 이후 다소 수습된 국가기강과 경제상태가 다시 악화되어 당시의 사회상은 비참하기 짝이 없었다.

1645년 오랜 볼모의 생활에서 벗어난 소현세자가 북경에서 돌아와 얼마 안되어 의문의 변사를 당한 뒤, 소현세자의 아들을 후계자로 하지 않고 2남인 봉림대군을 세자로 세움으로써 현종, 숙종 때 예론의 불씨를 남기게 되었다.

1624년 총융청, 수어청 등 새로이 군영을 설치하여 북방과 해방에 유의하였다. 광해군 때 경기도에 시험적으로 실시하였던 대동법을 1623년에 이르러 강원도에 확대하였으며, 1634년 삼남에 양전을 실시하여 전결 수를 증가시켜 세원을 확보하고, 세종 때 제정되었던 연등구분의 전세법을 폐지하여 전세의 법적인 감하를 주시로 하는 영정법과 군역의 세납화를 실시하였다.

1633년 상평청을 설치하여 상평통보를 주조하고, 청나라 상인과의 민간무역을 공인하여 북관의 회령 및 경원개시, 압록강의 중강개시가 행해지도록 하였다.

1628년에 벨테브레가 표착하여 왔는데, 그는 이름을 박연으로 고치고 병자호란 때 훈련대장 구인훈의 휘하에서 대포의 제작법과 사용법을 지도하였다. 또한 소현세자가 청나라에서 돌아올 때 화포, 천리경, 과학서적, 천주교서적 등을 가지고 왔으며, 송일룡, 김상범, 등이 서양의 역법인 시헌력을 청나라에서 수입하여 그 뒤 1653년(효종 4년)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학문에도 힘써 <황극경세서>, <동사보편>, <서연바람> 등을 간행하였고, 송시열, 송준길, 김육, 김집 등 우수한 학자를 배출하여 조선후기 성리학의 전성기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능은 장릉으로 경기도 파주군 탄현면 갈현리에 있다.

인조반정으로 즉위하기 전에 현재 은평구 역촌동에 있는 아버지 정원군의 별서에서 생활하였으며, 이 곳에서 이귀, 심기원, 김자점 등과 반정을 모의하고 반정당일에는 친병을 거느리고 연서역에 가서 장단부사 이서의 군대와 합류하였다.이러한 사실을 기록한 인조별서유기비가 은평구 역촌동 8번지에 남아있다. 또한 반정 당시 이서가 약속한 시간에 홍제원에 도착하지 않자 인조가 몸소 연서역까지 나와 이서를 기다렸는데, 그 때문에 뒷날 이 곳을 ‘이서가 지각한 곳' 이라는 뜻에서 연서라고 하였다가, ‘신하를 늦게 만난 개천' 이란 뜻에서 연신내라고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인조

담당자 정보

콘텐츠 정보관리
  • 담당부서 문화관광과 관광진흥팀
  • 연락처 02-351-6524

주의 최종수정일2022.01.23